
문제 설명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28
10828번: 스택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
www.acmicpc.net
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 만들기
- push X : 정수 X를 스택에 넣기
- pop :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뺴고, 그 수를 출력하기.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 출력
- size :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
- empty : 스택이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 출력
- top :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.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 출력
문제 풀이법
stack을 선언하여 주어지는 명령어 맞게 그대로 구현하면 된다
주의해야 할 점은 명령어 설명에도 있지만
pop, top에서 스택이 비어있는지 먼저 확인 후 실행하여야 한다
또 다른 주의점은 명령의 수가 많기 때문에 cin과 cout을 쓰면 시간초과가 난다
나는 보통 입력받을 때 cin, 출력할 때 printf를 사용하지만 cin과 cout보다 scanf와 printf가 훨씬 빠르다!
printf를 사용할 때 주의점은 stack의 size()는 long long 형을 지원하는 것 같으므로 %lld 형식으로 출력해준다
(%d 썼더니 컴파일러가 혼낸다)
소스 코드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stack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
{
int n;
cin >> n;
stack<int> s;
for (int i = 0; i < n; i++)
{
string str;
cin >> str;
if (str == "push")
{
int tmp;
cin >> tmp;
s.push(tmp);
}
else if (str == "pop")
{
if (s.empty())
printf("-1\n");
else
{
printf("%d\n", s.top());
s.pop();
}
}
else if (str == "size")
{
printf("%lld\n", s.size());
}
else if (str == "empty")
{
printf("%d\n", s.empty());
}
else if (str == "top")
{
if (s.empty())
printf("-1\n");
else
printf("%d\n", s.top());
}
}
return 0;
}
'Algorithm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874 스택 수열 (0) | 2023.01.12 |
---|---|
[백준] 10773 제로 (0) | 2023.01.12 |
[프로그래머스] 1단계 - 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 (0) | 2023.01.11 |
[프로그래머스] 1단계 - 실패율 (0) | 2023.01.11 |
[프로그래머스] 1단계 - 소수 찾기 (0) | 2023.01.11 |